git (2)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명령어로 git 다루기(2) 2. git으로 branch 생성 (1) branch 생성하기 git branch 현재 master브랜치를 사용중이라는 의미이다. git branch foo (2) branch 이동하기 git checkout foo (3) 브랜치 병합하기 git merge "merge하고자하는 branch 이름" (4) 브랜치 삭제하기 : 머지를 하거나 사용이 완료된 branch는 삭제를 해주는것이 관리하는데 용이하다. git branch -d "삭제하고자 하는 branch 이름" (5) 충돌 해결하기 : 브랜치를 합칠 때 conflict가 일어나면 파일을 직접 수정해준다. 변경사항 중 적용할 사항을 빼놓고 충돌나는 부분을 삭제해주면 된다. [git] 명령어로 git 다루기 1. 저장소와 버전 만들기 (1) 우선 작업을 하기 위한 파일을 생성합니다. (2) 새로운 git 저장공간을 생성합니다. git init (3) 비어있는 새로운 파일을 만듭니다. touch 파일명 (4) 작업 디렉토리의 상태를 확인 git status No comits yet : 은 아직 커밋된 파일이 없다는 의미 Untracked files : 새로 생긴 파일 (5) 파일을 스테이징에 올리기 git add 파일명 // 파일을 지정해서 올릴 때 git add . // 작업한 모든 파일을 올릴 때 Change to be committed : 커밋될 수 있는 파일이 생김 파일명이 초록색으로 뜨면 커밋을 할 수있도록 정상적으로 스테이징 되었다는 뜻이다. (6) 커밋하기 커밋 제목만 작성할 때 git commi.. 이전 1 다음